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ENGLISH  |  HOME  |  SITEMAP

    국내외 동향

 
작성일 : 14-09-11 16:01
[국외동향] [KISTI] 전지구적 탄소 배출 증가를 유발할 수 있는 아프리카 농업 혁명
 글쓴이 : 에정센…
조회 : 15,851  

미국 퍼듀대학교 연구진은 아프리카의 생산량 증대 농업 혁신 사업이 전지구적 벌채 속도 및 탄소 배출 증가를 유발한다고 밝혔다. 역사적으로, 농업 기술의 향상은 전지구적 수준에서 토지를 보존하고 탄소 배출을 감소시켜왔다. 한 지역에서 더 나은 생산량을 확보하는 것은 농업 생산에 필요한 타 지역 개간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규모를 상당량 증가시킬 수 있는 토지 전환 공정을 회피할 수 있다.

하지만 아프리카의 농업 진일보는 이와는 다른 역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전지구적으로 미개발된 토지의 농지로의 전환 규모 증가 및 이로 인한 지구온난화 가스 배출의 상승이 야기될 수 있다고 퍼듀대학교 Thomas Hertel 교수는 말한다. Hertel 교수는 “아프리카 토지는 탄소가 부유하지만 농업 생산량은 낮은 편이다. 아프리카에서의 생산량 증가는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특히 농업 시장이 대단히 집적되어 있을수록 심해진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화와 농업 기술의 환경 영향 간의 상호작용 이해의 중요성을 짚어주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크게 뒤얽혀있다”고 설명한다.

환경에 미치는 농업 혁명 영향은 논쟁으로 둘러싸여 있다. 한 쪽에서는 농업 분야에서의 수익성 향상은 부정적인 환경 영향, 지구온난화 배출 증가 및 열대지역 벌채 가속화를 증폭시킨다고 주장한다. 반면 다른 쪽에서는 농업 생산성 강화는 전체적인 환경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다고 주장한다. 동일한 규모의 곡물이 적은 토지에서 생산될 수 있다면, 더 많은 토지는 자연 상태로 할당될 수 있다고 말한다. Hertel 교수는 “우리는 어느 쪽의 주장이 맞는지 결정짓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역적 상황에 따라 두 가지 가정이 모두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농업 기술이 토지 사용의 세계 속도 및 탄소 배출에 미치는 지역적 향상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 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지역에서의 역사적인 “녹색 혁명”이, 곡물 혁명이 없는 대체 시나리오와 비교했을 때에 비해 탄소 배출 감소 및 토지 할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녹색 혁명은 수확량의 극적 증가를 얻기 위한 곡물 종자 품종 개량 노력을 일컫는다. 하지만 아프리카에서의 녹색 혁명 효과는 구체적이지 못하다.

Hertel 교수는 “역사적으로 그랬던 것처럼 미래 세계 경제가 파편화된 상태로 남아있는다면, 즉 매우 뚜렷한 농업 시장 세계가 그대로 존속된다면 아프리카에서의 녹색 혁명이 전지구적 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세계 농업 시장은 계속적으로 통합되고 있으며, 아프리카에서의 빠른 농업 혁명은 전지구적 탄소 배출 상승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설명한다. 통합 세계 시장 시나리오 분석에 따르면, 2025~2050년 사이에 아프리카 농업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세계 농지가 약 180만 ha가량 확장되며 전지구적 탄소 배출량은 26700만 톤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아프리카 녹색 혁명에서, 동일 곡물 공급량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농지의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량으로 인해 더 많은 전환 토지의 요구를 수반한다.

하지만 아프리카 녹색 혁명의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은 시간이 갈수록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수십 년간 유지될 경우, 아프리카 농업 혁명은 궁극적으로 토지를 보존하고 탄소 배출을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생산량이 빠르게 향상될수록 긍정적인 효과로의 역전이 예상된다. 하지만 탄소가 매우 풍부한 토지는 농지로의 전환 프로그램으로부터 즉시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Hertel 교수는 지적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최신호에 게재된다.

원문 출처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http://mirian.kisti.re.kr/futuremonitor/view.jsp?cn=GTB2014090285&service_code=03
자료 출처 :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4/09/140908162447.htm


 
   
 


 
    (사)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서울시 삼개로 15-10 (4층) [04172] *지번주소: 서울시 마포구 도화동 203-2
    전화 : 02-6404-8440  팩스 : 02-6402-8439  이메일 : mail@ecpi.or.kr  웹사이트 : http://ecp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