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ENGLISH  |  HOME  |  SITEMAP

    자료마당

 
작성일 : 11-01-17 00:31
[재생가능에너지] [GRI] 바이오디젤(폐식용유)을 활용한 차량연료 공급방안
 글쓴이 : 에정센…
조회 : 19,211  
   폐식용유을 활용한 차량연료 공급방안(GRI, 2010).pdf (714.1K) [156] DATE : 2011-01-17 00:31:49
경기도의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중 수송부문 에너지소비량은 7.3Mtoe로 전국 평균 20.7%를 초과하는 31.5%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음.

바이오연료가 2050년 전체 수송연료의 26%를 차지할 것으로 에너지 기술전망 2008 에서 전망하고 있음. 따라서 경기도는 수송부분의 에너지 절약 및 CO2 저감을 위한 정책마련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음.

경기도의 신 재생에너지 활용을 활성화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폐식용유를 활용한 바이오디젤(BD, Biodiesel)의 차량연료 공급방안이 필요한 시점임.

미국은 2005 에너지정책법 에서 법제화한 신재생연료 의무혼합제도(RFS, Renewable Fuel Standard)의 시행으로 2012년까지 바이오디젤 75억 갤런을 생산하도록 함. 2015년 신규차량의 50% 이상은 58% 에탄올 또는 BD 사용을 의무화함.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 최초로 바이오디젤을 상용화하여 ’06. 7월부터 상용화를 개시하였고 수송용 바이오연료 혼합사용의무제(RFS, Renewable Fuel Standards)의 실시 및 바이오연료 자동차의 국내 생산 및 보급을 추진할 계획임.

국내에서는 수입대두유(77%)와 국내회수 폐식용유(23%)를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향후 바이오디젤 원료로 써 폐식용유의 사용이 확대되면 매년 10만 톤의 원유 수입 절감(400억 원 상당)과 22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폐식용유를 환경적 처리 없이 하수를 통해 배출할 경우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1,778,000ppm,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2,474,500ppm으로 환경 및 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폐식용유의 발생량에 대한 정확한 국내 통계는 없으나 설문조사에 의한 추정치는 가정이 연간 58,000톤, 음식점 83,000톤, 식품제조사업장 78,000톤이 발생하여 총 270,000톤이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됨. 이중 가정의 경우 폐식용유 회수율이 15%로 향후 연간 약 40,000톤이 추가적으로 회수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경기도에서 수거되는 월 평균 폐 식용유량 약 5,000톤을 바이오디젤로 이용할 경우 경기도 폐식용유의 연간 에너지 잠재량이 약 62,034TOE에 이르는 것으로 산정됨.

경기도 31개 시 군 설문조사 결과 폐식용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생산 및 이용에 대한 입장은 적극도입 및 도입 찬성 의견이 72%를 나타내 경기도 도입 가능성은 큰 것으로 분석됨.

경기도의 경우 수송에너지가 전체에너지 사용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탄소중립연료인 폐식용유를 활용한 바이오디젤을 관내 청소차량에 우선적으로 도입하고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음.

특히 경기도의 바이오디젤 생산업체 5개소 중 3개소(엠에너지, 단석산업, 에너텍)가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폐식용유 바이오디젤 활용 사업의 추진 확대를 고려할 수 있을 것임.

또한 정부에서 추진 중인 “녹색마을 조성” 사업과 연계하여 오스트리아 뮤레크시와 같이 폐식용유 바이오디젤과 기타 신재생에너지를 복합적으로 활용한 에너지 자립마을 구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목 차 -

요 약
Ⅰ. 문제제기
Ⅱ. 바이오디젤 관련 정책동향 및 이용 현황
Ⅲ. 폐식용유 바이오디젤의 차량연료 활용 사례
Ⅳ. 정책적 시사점과 경기도의 역할

 
   
 


 
    (사)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서울시 삼개로 15-10 (4층) [04172] *지번주소: 서울시 마포구 도화동 203-2
    전화 : 02-6404-8440  팩스 : 02-6402-8439  이메일 : mail@ecpi.or.kr  웹사이트 : http://ecp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