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ENGLISH  |  HOME  |  SITEMAP

    자료마당

 
작성일 : 14-05-08 19:19
[지역에너지] 남아시아 에너지 네트워크의 현재와 미래
 글쓴이 : 에정센…
조회 : 18,748  

인도라는 지역 맹주가 존재하는 남아시아에 에너지 네트워크는 어떻게 존재하고 어떤 기능을 하고 있을까. 실제로 그런 네트워크가 존재하는가 하는 질문이 더 익숙할지 모른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아시아 전환> 세미나팀은 “남아시아 에너지 네트워크”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Latha Jishnu, Sayantan Bera, Ankur Paliwal의 “Tense over energy”(Down TO Earth. Dec 15-31, 2013)의 논지는 다음과 같다. 1) 남아시아-중앙아시아 전력망과 가스망 확대는 지역(region) 에너지 협력에 바람직하다. 2) 남아시아-중앙아시아 에너지 네트워크의 국제 행위자는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미국 등 선진국 원조기관이다. 3) 이런 지역 에너지 네트워크 구축의 걸림돌은 남아시아에 고유한 역사적, 정치적, 군사적 갈등이다. 또한 지정적학 갈등을 둘러싼 국제정치(미국, 서방, 중국, 러시아, 중동 등 포함)가 에너지 네트워크 형성에 방해가 된다.

이런 논리에는 1) (양자 간보다) 다자 간 에너지 협력은 지역의 에너지 수급을 안정화시키고 경제 활동/통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하고, 2) 지역 내에 분포한 에너지 생산과 소비의 비교우위를 전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이들의 주장에 관심을 갖더라도 비판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또한 4) 에너지 네트워크를 둘러싸고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와의 맥락적 차이와 담론과 정책의 차이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런 배경에서 먼저 남아시아 국가들의 에너지를 개괄한 후, 남아시아 에너지 네트워크의 주요 쟁점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by 필>

[8개국 에너지 현황]

국가

설비용량

(MW)

전력

보급

주요 특징

인도

225,793

75%

석유 80% 수입, 핵발전 전력에서 2.12% 비중, 셰일가스와 재생에너지 추진

파키스탄

23,578

87%

석유 84% 수입, 에너지 위기로 송전 제한과 산업 정지 상황, 1990년대까지 수력에 의존했다가 천연가스 생산이 증가해 가스에 의존하기 시작. 총에너지의 50%를 자국 천연가스로 충당. 핵발전 비중 3.3%, 발로치스칸주 무장 반란 부족 지역에 셰일가스 매장

방글라데시

10,213

62%

석유 95% 수입, 전력생산 대부분 자국의 천연가스에 의존, 점차 석유화력발전 증가(그러나 가스화력발전에 15배, 석탄화력발전에 4배로 비쌈), 다시 증가하는 전력을 석탄과 가스화력발전으로 충당할 계획, 인도에서 전력 4.9% 수입, 수력은 2.25%에 불과, 핵발전 추진중

스리랑카

3,310

95%

자국에 석탄. 석유, 가스 없으나, 석유만 수입. 전력 수요 전부 충당. 석유연소 발전비중이 1995년에 7.3%에서 2000년 54.2%로 증가했다가 현재 50% 수준. 이로 인해 전력생산 비용 증가 초래,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맞추기 위해 석탄 수입을 시작. 그러나 석탄화력발전(비중 10%)은 환경문제로 대중적 저항에 직면

네팔

757

63%

자국에 석유, 가스, 석탄이 없으나, 석유만 수입. 자국 수력발전과 인도로부터 전력 수입으로 대부분의 전력을 충당(수력발전 비중 93%.). 겨울에 전력 부족이 심각. 남아시아에서 전력 수요-공급의 차이가 44%로 가장 높음. 농촌 지역은 전통적 바이오매스에 전적으로 의존

기타

-

-

이상의 나라들에서 경제활동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25% 가량은 전통적인 바이오매스로 사용, 남아시아 연간 1인당 에너지 사용량은 514kg(석유환산), 2030년까지 1차 에너지 수요는 50% 증가 그리고 전력 수요는 3개 증가 예상. 네팔과 부탄은 히말랴야 산맥으로 풍부한 소수력 잠재력 보유, 아프가니스탄 전력 보급 33%, 부탄과 스리랑카는 석유 100% 수입



[남아시아 전력 네트워크]

현재

인도-부탄 1,000MW, 인도-네팔 50~150MW, 인도-방글라데시 500MW

계획

인도-부판 2,100MW. 인도-네팔 1,000MW, 인도-스리랑카 250~500MW, CASA 1,300MW


SAARC와 CASA 1000

2012년 5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이 세계은행과 만났는데, 에너지가 풍부한 키르기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에서 남아시아로 전력을 공급하는 10억 달러 프로젝트에 논의했다. 이 CASA(Central Asia South Asia) 1000 프로젝트는 세계은행이 5억 1천만 달러의 차관을 제공하는 것으로 중앙아시아에서 아프가니스탄을 통해 남아시아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아프가니스탄은 현재 300MW만 필요하고 나머지는 파키스탄으로 전송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2004년 SAARC(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아프가니스탄, 부탄, 방글라데시, 인도, 몰디브,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이 지역은 경제적으로 최소한의 수준으로만 묶여 있음. 인도와 파키스탄의 양자 거래는 30억 달러로 극히 낮은 수준) 정상 회의에서 지역의 에너지 인프라 통합이라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것이다.


인도의 패권적 태도와 남아시아의 뿌리 깊은 갈등

2012년 모임에서 일정한 합의가 있었지만, 더 관심을 끌었던 것은 SAARC 중 가장 큰 나라인 인도와 파키스탄의 전력계통 연계 문제였다. 당시 세계은행이 두 나라의 전력계통 연계 문제에 대한 모임을 진행했다. 인도에서 파키스탄으로 500MW의 전력을 공급하는 프로젝트가 제안되었고, 나름의 공감대가 형성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성과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에 대해 세계은행이 발주한 사전 타당성 조사가 이뤄졌다. 한편 2012년 회의에서 인도의 전력 능력과 전력 시장에 관한 구체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려는 인도 관료의 비협조적인 태도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인도 관료는 전력계통 연계에 대한 공식적인 합의가 없는 상황에서는 어렵다는 답변을 했다. 실제 (인도-파키스탄의 정치적 관계를 염두에 두고) 정치적 합의 없이는 전력 연결이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인도와 파키스탄은 관련 규제와 법이 유사하고 전력거래에 대한 법적 장애물이 없기 때문이다. 즉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는 말이다. 그리고 30~40km의 고압직류 송전이면 충분하다는 것이다. 인도가 400kV를 사용하고 파키스탄이 500kV를 사용하지만, 변환장치를 설치하면 된다. 인도에서는 최소 100~150만 달러면 가능하다고 한다(파키스탄은 최종 타당서 보고서 나와 봐야 함).

이에 비해 파키스탄에서는 인도와의 전력연결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있지만, 여전히 정치적 반대가 강한 편이다. 실제 2013년 9월 파키스탄 상원에서 인도에서의 전력 수입을 반대했고, 타당성 조사로 국고를 낭비하고 국제기구의 차관을 늘여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오히려 자국의 수력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있다. 그만큼 양국 간에는 서로에 대한 적개심이 강한 편이고 신뢰가 부족한 상태다.  특히 이 남아시아 지역에서 인도의 패권에 대한 주변국의 불만이 강하다. 부탄은 예외적인 관계고, 최근 몰디브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974년부터, 히말라야 왕국(현재 부탄)은 인도에 수력 발전을 공급하고 있는데, 현재 1,000MW 정도 된다. 다른 한편 인도에 엄청난 수의 빈곤층이 있는 상황에서 이런 상호 불신은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고,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도 취약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인도에서 수백만 명이 전력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인구 99.7%에게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남아시아 지역의 국력으로 볼 때, 인도는 국가 간 에너지 협력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란-파스키스탄-인도 가스 수송관의 경우, 25년 이상 논의된 것으로 정치적 요소가 크게 작용했다. 인도는 가스 수송관의 안보 문제를 걱정했고 최종적으로 미국의 프로젝트 거부 압력이 거세지자 손을 뗐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 중국까지 장거리 수송관이 뻗어나가지만, 중국에 비해 인도는 서는 쉽게 성사되지 않은 가능성이 높다(자세한 내용은 후술).

2000년대 인도가 SAARC와 중국, 러시아, 서아시아와 에너지 협력을 고려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2006년 에너지 협력에 적극적이던 에너지부 장관이 에너지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 발언을 한 뒤로 바로 해임되었다. 당시 방글라데시, 미얀마 사이에 가스 수송관 협력 사업 역시 외교부 장관은 지정학적, 안보적 이유로 반대 의사를 나타내기도 했다.


파키스탄의 상황

파키스탄은 SAARC 국가 중 에너지 문제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전력공급 부족분은 평균적으로 수요의 25%(4,000MW)이고 피크 계절에는 6,000MW로 늘어난다. 전력 피크 시기에 강제부하차단(load-shedding)이 농촌 지역에서는 20시간, 도시 지역에서는 8시간으로 늘어난다. 겨울에는 천연가스 공급 부족이 수요의 50%에 달한다. 효율적인 열병합발전도 가스 공급이 부족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석유화력발전은 수요를 충족시키려고 가동되지만 전력생산 비용 증가를 낳는다. 1950년대 대규모 가스전 발견 이후 가스 발전을 이른 시기에 시작했고, 압축천연가스를 교통수단의 연료로 사용하는 나라의 비극적 현실이다(세계에서 자동차 연료로 압축천연가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나라일 것이다). 막대한 보조금 탓에 가스 시장이 엉망이 됐고 특히 보조금에 의존하다보니 신규 탐사의 동기가 줄어들어 탐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도 문제를 더 꼬이게 만들고 있다. 천연가스를 펑펑 쓰다가 가스에 너무 의존적인 생활 패턴이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전력 소비자 가격은 지난 2년 동안 두 배로 뛰었고 현재 남아시아 국가 중에서 가장 높다. 파키스탄의 순환부채(circular debt) 역시 골칫거린데, 주정부와 중앙정부가 재정을 지급할 수 없어 중앙전력구매국(Central Power Purchasing Agency)이 전력공급 기업들에게 지불할 돈이 없는 상황이다. 2013년 12월, 아시아개발은행은 비상사태를 대응하려고 계획되고 있는 신규 거대 석탄화력발전 건설 대금을 대출했다.

이렇게 어려운 상황에서 파키스탄은 인도의 국영가스회사(GAIL)로부터 (인도가 수입한) 액화천연가스를 (가스 상태로) 수입하려 한다. 인도도 가격만 맞는다면 파키스탄에 천연가스를 수출할 생각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는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에 110km의 수송관이 건설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실제 2001년  영토분쟁으로 협상이 중단됐던 수송관 논의가 다시 재개됐다. 그러나 인도는 계속적으로 가스공급계약 이전에 지급보증을 받아내려고 한다. 지급보증이 상업계약 중에 포함되는 내용이기는 한데, GAIL이 원하는 가격이 21달러/mBtu라는 게 어려운 문제다. 인도가 다른 나라에서 수입한 액화천연가스 가격은 14달러인데, 파키스탄으로 수송되기 전에 다시 가스로 변환되어야 한다. 프로젝트가 성사되려면 인도와 방글라데시 간에 이뤄지고 있는 전력 거래보다 에너지 협력에 대한 더 큰 신뢰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2014년 말까지 첫 천연가스 터미널(중국 자본 투입, 중국의 에너지와 경제 측면에서의 인도양 진출 전략)을 갖추려하는 파키스탄에게는 가격 협상으로 거래가 교착된다면 그 터미널의 필요성이 더 커지게 된다. 그 가격에 천연가스를 구매하는 것은 정부 입장에서 너무나 큰 위험을 껴안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에너지 위기로 경제가 크게 휘청거리고 있다. 2012년 전력부족으로 GDP가 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고, 석유 가격 상승으로 국가의 재정 압박은 더 심해질 것이다. 


인도의 상황

인도의 전력 상황 역시 좋지 않은데 전력 피크 시기에 9% 이상이 부족하다. 2012년, 일주일에 두 번이나 몇 시간씩 인도 북부 대부분의 지역이 어둠에 휩싸이는 대규모로 전력계통 붕괴를 겪었다. 인도 관료들은 국내에 전기가 부족한 마당에 타국과의 에너지 협력은 가당치 않은 주장이라고 비웃었다. 파키스탄과 인도, 이 두 나라에서의 자원 관리 실패와 수요 증가로 연결돼버린 높은 수준의 에너지 보조금 정책은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정부의 실패를 의미한다.


방글라데시의 상황

2013년 10월, 방글라데시는 발전 설비용량 10,000MW 달성을 기념했다. 수년 동안 (하루에) 10시간 동안 정전이 되었기 때문에 축하할 만 했다. 이제 1인당 전력 소비가 321kWh로 75%나 늘게 되었다. 그러나 소비 증가는 상당한 비용을 수반했는데, 많은 양의 설비 증설은 값비싼 석유화력발전으로 달성했다. 단위 발전 비용이 가스화력발전의 15배, 석탄화력발전의 4배나 된다. 현재 전력의 65%가 천연가스로 생산되긴 하지만, 미래의 석탄이 주 연료가 될 것이다. 2030년에 전력의 50%가 석탄화력발전으로 생산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가스화력발전은 매장된 천연가스가 점차 고갈되어 23%에 머무를 것으로 예측된다. 주목할 부분은 국외 전력 그리드에서 9%를 공급받고 핵발전으로 10%를 충당할 계획이라는 점이다. 방글라데시는 2012년 GDP의 4.1%를 석유 수입에 썼다. (비상사태에) 값싼 국내 가스의 공급으로 에너지 집약적인 분야를 유지한 방글라데시 입장에서 석유화력발전은 값비싼 선택이었다. 그 결과 효율적 발전 시스템을 초래했고, 민간 발전업자들에게 거액의 이윤을 보장하는 꼴이 됐다.


천연가스와 평화(수송관의 지정학)

인도는 어떻게 값싼 가스 수송관을 놓쳤나. 이란-파키스탄-인도 수송관 프로젝트는 에너지 지정학과 그 지정학이 개도국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1989년 이란과 인도가 처음으로 제안했다. 처음에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관계로 진전되지 못했는데,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인도의 전통적인 석유 공급선(이라크)을 상실하자, 파키스탄의 불안한 지역인 발로치스탄을 경유해 들어오게 되어 수송관 안보 불안이 해결되지 않았음에도, 이란과의 에너지 협력을 서둘러 추진하고자 했다. 1995년에는 파키스탄 역시 이란과의 수송관 건설에 합의했다. ‘평화의 수송관’이라고도 불렸는데, 이후 지난한 과정에서 결국 이란-파키스탄 수송관으로 축소되었다.

1998년 인도와 파키스탄 핵실험으로 관계 악화, 이후 이란과 인도가 가격협상의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협상 중단, 그리고 2000년대 이란의 핵실험 프로그램 논란과 미국의 경제 제재 상황에서, 인도는 2009년에 미국의 압력으로 프로젝트에서 발을 뺐다. 인도는 미국과의 핵협정 과정에서 (미국으로부터 핵주권을 강화하는 대가로) 옛 동맹과 관계가 틀어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기회를 놓쳤다. 파키스탄은 미국의 경고를 무시하고 자신들에게 에너지의 생선선인 수송관을 얻고자 했다. 2010년 이란과 파키스탄 사이에 수송관 건설에 합의했다. 현재 이란은 자국 내 수송관 시설을 완료했고 파키스탄의 건설을 도왔다. 파키스탄도 2014년 말까지 자국 내 수송관을 완성하기로 합의했는데, 재정 마련이 힘들어졌다. 이란은 미국의 제재가 계속되고 있었고, 수송관 건설비용 총 18억 달러 중 약속한 5억 달러를 제공할 능력이 없다고 밝혔다. 한편 가스 가격이라는 다른 문제도 예상된다. 초기에 이란, 파키스탄, 인도는 원유가격을 기준점으로 하는 방식으로 4.93달러/1mBtu에 합의했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가스 공급이 증가하여 원유 가격과 가스 가격의 탈동조화(decoupling)되는 시장 변화 상황을 고려해 파키스탄 정부가 가격 옵션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가격 결정 방식 탓에 경제적으로 손해를 입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인도가 파이프라인에 다시 나선다면 가격 협상에 파키스탄보다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란과의 협상에서도 인도-파키스탄 간의 에너지 협력 관계 개선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인도에게는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인도 수송관 프로젝트 옵션도 존재한다.


전력 거래

남아시아 협력은 에너지 위기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할까? 2013년 10월에 인도→방글라데시로 국가 간 송전망(전압 400kV, 송전 길이 98km, 송전탑 197개)을 따라 매일 500MW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그런데 송전망 계획, 설계, 실행까지 3년이 걸렸다. 수력발전을 제외하고(수력은 부탄→인도 1,000MW, 인도→네팔 50~150MW 존재) 남아시아에서 첫 양자 간 화력발전 전력교환 사례다. 2004년 구상에 따른 슈퍼 그리드는 여전히 개념으로 남아 있지만, 인도-방글라데시는 이를 향한 첫 시도로 볼 수 있다. 최근에도 남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전력거래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네팔(수력)은 40,000MW의 잠재력 중 5%만, 부탄(수력)은 43,000MW 중 1.7%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스리랑카는 10,000MW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중동인 이란과의 가스망을 제외하고) 남아시아에서 다자 간 에너지 협력 논의는 십년 정도 지났지만, 양자 간 논의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인도와 네팔은 수력 발전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인도는 코시(Kosi)강 댐을 만들어, 주로 관개와 홍수 통제 목적이었지만 부가적으로 20MW을 발전해 네팔에 공급했다. 이후 두 나라는 전력 전용으로 수력 프로젝트를 추진했고, 인도는 네팔에 겨울에는 150MW, 여름에는 70MW를 수출하고 있다. 부탄 역시 1974에 인도와 에너지 협력을 시작했다. 부탄은 현재 수력 설비용량이 1,488MW로 이중 80%는 인도로 공급된다. 강의 수량이 줄어드는 겨울에는 부탄은 인도에서 40MW를 수입한다. 부탄은 인도에 전력 판매로 2010~2011년에 2억 3,3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2008~2012년 동안 부탄은 전력 판매로 GDP의 8.6%가 늘었다. 그러나 인도, 부탄, 네팔의 전력시스템 연결은 커다란 잠재력 중 극히 일부만 끌어올린 상태다.

이 세 나라는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는데, 2006년에 부탄과 인도는 2020년까지 10,000MW 용량의 수력 프로젝트를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이미 총 2,900MW급으로 세 프로젝트가 건설 중에 있는데, 2016년에 완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탄의 전력 피크는 500MW 아래로 유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생산되는 전력 대부분은 인도로 수출될 것이다. 부탄과 비교해 네팔과 인도의 관계 개선은 더딘 편이다. 인도와 네팔의 에너지 협력의 역사는 길지만, 정부의 안정성이 불안한 탓에 네팔에 투자하길 꺼린다(일부 연구자들은, 네팔에 발전용 댐을 건설하면 이주가 불가피하고 댐 건설로 인해 인도가 관개와 홍수 조절의 혜택을 얻기 때문에, 인도에게 전력요금에 이 부분을 고려해서 책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왔지만, 매번 인도는 이 제안을 거절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네팔의 수요-공급 격차는 44%로 남아시아에서 가장 크다. 현재 카트만두 여러 곳에서 15시간 정전을 경험하고 있다. 신규 수력발전 프로젝트가 없다면, 네팔은 인도에서 전력을 구매해야 한다. 2014년 12월 완공 예정인, 인도에서 네팔로 이어지는 126km 송전선으로 1,000MW의 송전이 가능하고, 이는 1억 8,600억 달러에 해당한다. 인도와 네팔 간에 더 많은 프로젝트들이 계획 중에 있다.

인도와 스리랑카에 360km 송전 계획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 120km는 해저로 연결된다. 이 계획에 따르면, 인도는 스리랑카의 전력피크 시기에 1,000MW의 전력을 판매하고, 스리랑카는 오프 전력피크 시기에 잉여 전력 800MW를 인도에 판매한다. 그러나 해저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데에 9억 3,500만 달러로 비용이 많이 든다. 이 수준으로는 양 국가의 이윤을 보장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생태 환경과 원주민들의 (반대)입장도 프로젝트에 일정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중앙아시아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에서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으로 전력을 연결하는 10억 달러 계획(CASA 1000)도 있다.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은 여름에 6,000GW의 잉여 수력 발전이 있고,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은 전력 위기를 겪는다. 이 프로젝트가 성사되면, 1,300MW의 전력이 흘러가 파키스탄이 1,000MW, 아프가니스탄은 300MW을 사용하게 된다.



이런 슈퍼 그리드의 실행이 쉬워 보이지만, 많은 과제가 있다. 가장 큰 걸림돌은 남아시아 국가들의 관계 급변이고, 인도의 태도도 중요한 변수다. 그리고 투자자들은 국가 간 전력연계에 투자하길 꺼려하기도 한다. 국가들이 적대적으로 변하거나 어떤 국가에서 가뭄이 들어 전력을 충분히 생산할 수 없어 판매를 거부할 경우에는 어떻게 되는가.

남아시아 전력거래의 핵심 요소는 ‘남아시아전력거래소(South Asian Power Exchange)’와 같은 기구의 존재와 효과적이고 투명한 역할이다(인도에는 5년 전에 두 개의 전력거래소가 생겼는데(Indian Energy Excahnge, Power Exchange India Limited) 현재 인도 전체 전력거래의 3%만 이 거래소를 통해 거래되고 있다). 인도와 부탄과 네팔을 제외하면, 다른 남아시아는 법적으로 전력을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양자 간 합의는 이런 거래를 규정하는 규칙을 의미하는 것이고, 여기에는 세금 및 분쟁 해결 조항 등 제반 규칙도 필요하다. SAARC Energy Centre는 SAARC Inter-Governmental Framework Agreement for Energy Cooperation(Electricity) 초안을 마련했다. SAARC Market for Electricity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국가 간 거래, 상업적 전력구매계약 협상, 사적 분야의 전력거래와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다. SAARC Energy Centre는 남아시아 슈퍼 그리드에 4~5년 동안 23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봤는데, 한번 구축된 다음부터는 매해 40억 달러가 절약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서울시 삼개로 15-10 (4층) [04172] *지번주소: 서울시 마포구 도화동 203-2
    전화 : 02-6404-8440  팩스 : 02-6402-8439  이메일 : mail@ecpi.or.kr  웹사이트 : http://ecp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