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경
올해 초(2019.01.16.)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세계 최고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한다는 포부로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하는 수소경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었습니다.
이에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는 등 여러 논쟁이 있었습니다. 정부 발표는 침체 상태에 빠진 산업경제의 전환, 혁신 전략이라는 주장, 무엇보다 에너지전환 국면에서 간헐적인 재생에너지의 탁월한 충전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우호적 주장이 있었습니다. 다른 한편, 수소경제 로드맵은 수소를 얻는 방식이 화석연료 중심이라 에너지전환과 상충된다는 주장 등 부정적 입장 또한 있었습니다.
산업, 에너지 등 전환이 요구되는 시기에 수소는 논쟁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나 에너지전환의 맥락에서 수소가 어떤 역할을 할지 그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 짚어 봐야합니다. 연구소에서는 수소를 놓고 우리가 던져 보아야 할 질문들을 같이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 일정
일시: 2019년 4월 24(수) 19:00
장소: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 내용
1. 수소경제의 의미, 한계, 그리고 딜레마_진상현(경북대)
2. 수소를 향한 질문_구민회(법률사무소 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