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ENGLISH  |  HOME  |  SITEMAP

    활동마당

 
작성일 : 11-05-17 14:27
[언론기사] [에큐메니안] 북한 에너지 위기의 원인과 정의로운 해결 방안
 글쓴이 : 에정센…
조회 : 21,727  

북한 에너지 위기의 원인과 정의로운 해결 방안 
개발원조기획연재-북한이야기 


최빈국이나 저개발국가의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들은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식량, 물, 에너지, 의료, 교육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지만,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의 양극화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 인간 생활에 필수적인 먹을거리, 물, 에너지는 생존권의 문제이다. 특히 에너지는 산업은 물론이고, 냉난방이나 취사, 교통, 전기제품 사용뿐만 아니라 식량이나 물을 얻기 위한 과정에서도 필요한 기본재이다. 제 3세계 에너지문제는 그곳에 뿌리 내리고 사는 사람들의 기본권의 위협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국사회에는 ‘나눔’이 화두가 되고 있고, 최빈국에 대한 개인 후원자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현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교착에 빠져있고, 미국의 북한 봉쇄정책도 여전한 상황에서 북한 주민들의 생존권적 위협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남북, 북미간 갈등의 핵심 요소는 아무래도 에너지 문제이다. 특히 북한 에너지 위기는 핵무기와 원자력발전 시설을 둘러싼 주변 당사국 사이의 정치.외교.군사적 차원의 갈등으로 치닫고 있다. 하지만 북한 에너지위기의 근저에 있는 북한주민의 생존권적 기본권 위기와 빈곤의 악순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북한정권에 대한 평가나 정치.외교.경제적 실리를 논하기에 앞서, 에너지 위기에 따른 원주민들의 삶이 얼마나 황폐화되어 있는지에 대해 먼저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1W의 에너지는 한 방울의 피와 같다

그렇다면 북한의 에너지 위기의 실상은 어떨까? 새터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북한주민들은 겨울철 기본적인 난방연료 부족은 물론이거니와 밥을 해먹을 연료조차 부족해 한꺼번에 밥을 해서 여러 날 먹고 있다고 한다. 오죽하면 '1W의 에너지는 한 방울의 피와 같다'는 구호가 나왔을까. 심각한 에너지 부족으로 인한 산업 활동의  위축은 빈곤의 악순환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렇다면 북한은 실제 얼마나 심각한 에너지 위기를 겪고 있는 것일까?



식량난, 에너지난, 산림생태계 파괴의 악순환

어쩌다 북한은 이렇게 심각한 에너지 위기에 처한 것일까? 북한의 에너지 위기는 무엇보다 1991년 소련 해체에 따른 오일쇼크가 결정적 계기가 됐다. 소련으로부터 구상무역 결제방법에 의해 국제시장가격의 절반 가격으로 석유를 수입했던 북한은 소련이 해체됨에 따라 석유공급이 격감하게 되었다. 소련의 해체는 석유뿐 아니라 ‘전력난’을 야기했다. 화력 및 수력발전소 등 소련 기술에 의존해왔던 북한 에너지 인프라의 유지와 개보수가 이뤄지지 않아, 설비 노후화에 따른 생산량 저하가 가속된 것이다.

둘째, 소련해체와 함께 1990년대 중반에 일어난 일련의 재해, 즉 홍수와 가뭄은 기왕에 취약성을 드러내기 시작한 북한의 에너지 시스템에 치명타를 가한 요인이 되었다. 1995년, 1996년 홍수는 농작물과 농촌 생태계를 파괴시켰고, 도로와 철도의 훼손과 더불어 농촌지역의 송배전망을 파괴시켰다. 즉 전력소비 인프라를 망가뜨리는 구실을 한 것이다.
 
셋째, 홍수로 많은 탄광이 범람했고, 석탄채굴에 지장을 초래했다. 홍수는 토양유실을 야기했는데, 유실된 토사가 하천이나 댐으로 흘러 들어가 수자원을 감소시키고 발전설비를 훼손함으로써 실질 수력발전을 감소시키는 데 일조했다.
 
넷째, 산림파괴와 산림생태계 훼손은 근본적으로 식량난 및 에너지난과 깊은 관련이 있다. 식량난과 에너지난은 무분별한 산지 개발과 식물과 나물, 그리고 땔감의 채취를 불러왔는데, 집중호우나 장마 시에 산림생태계 파괴로 말미암아 홍수가 일어났다. 홍수는 토양유실 등 또 다른 환경문제를 유발시키면서 식량난으로 이어지고, 자연환경의 훼손은 더욱 심화되는 악순환을 겪게 되었다.
 
산업과 운송을 ‘전력’에 의존하는 탓에 악순환 커져

한편, 1990년대 석탄 생산과 공급이 급격히 감소하여 전력난이 심화되었다. 북한은 산업부문이나 화물운송부문에서 ‘자력갱생’ 기조에 따라 석유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에 의존하는 ‘전력 과소비 구조’를 만들어 냈다.
 
석탄 생산과 전력이 맞물려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력난이 빚어지자 석탄 생산에 차질이 빚어졌다. 채굴과 석탄 수송도 전기를 사용하는 기관차 몫이기 때문에, 전력난을 겪는 와중에 비록 석탄을 캤다 하더라도 수송이 원활하지 못했다. 전력이 부족해서 석탄조달이 어려워지고, 석탄조달이 안되니 발전이 안 되는 악순환을 그리게 된 것이다.

식량과 더불어 에너지 지원 시급

그렇다면 북한의 사실상 붕괴된 에너지체계를 어떻게 구축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남한의 역할은 무엇인가? 먼저, 북한 에너지 위기 해소를 위한 기본원칙을 세울 필요가 있다. 첫째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접근하고, 둘째 한반도 위기의 근원을 해소하고, 셋째 북한주민의 에너지 기본권을 확립하고, 넷째 남북 상호이해를 증진하고, 다섯째 한반도 통일기반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또 세부적인 방안을 만드는 과정에서 환경성, 경제성, 사회적 형평성, 기술수준, 시간성, 수용성을 고려해야 한다.



북한 에너지 위기 해소방안은 중소 규모의 재생에너지 지원을 통해 인도주의적 차원의 민간 에너지 기본권 확립하고, 기존 발전설비 개보수와 풍력 등 재생에너지 단지조성을 통해 산업부문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자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북한 주민의 심각한 에너지 위기는 식량제공과 같이 인도적 차원에서 시급히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기술.산업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을 고려해 남한이 당장 제공할 수 있는 재생가능에너지는 풍력, 바이오, 태양열 등이다. 이미 풍력의 경우 750kW급의 국산화가 이뤄져 있고, 2MW의 실용화도 가시권에 있으며, 태양열 조리기 생산이나 돼지 등 축산분뇨를 이용한 전력생산도 당장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의 지역 분산.독립형 에너지 시스템을 강화하고, 노후설비를 개보수하는 한편, 일회적 지원이나 연료의 안정적 확보 및 운전.유지비용 등을 감안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체계를 지원해야 한다. 또한 지원 에너지의 군용 전환 가능성 등 불필요한 시비를 피하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민간용과 산업용으로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 이것이 단순한 퍼주기가 아니라 남한의 산업적 이해, 특히 원자력이나 전력회사 등이 아닌 재생가능한 에너지 산업 등 중소기업의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의 경제적 파생효과와 연동될 때, 남한과 북한의 상호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장기적 전망을 갖는 방향으로 진화할 수 있다.

* 이강준 선생은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의 연구기획위원이며, 진보신당 조승수 의원의 보좌관으로 일하고 있다.


* 기사원문 : http://www.ecumen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8408

 


 
   
 


 
    (사)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서울시 삼개로 15-10 (4층) [04172] *지번주소: 서울시 마포구 도화동 203-2
    전화 : 02-6404-8440  팩스 : 02-6402-8439  이메일 : mail@ecpi.or.kr  웹사이트 : http://ecpi.or.kr